본문 바로가기
DATABASE/MySql 실습

[mysql] Workbench CRUD 문법 , 테이블 생성, 데이터 입력, ID 설정

by 코끼리똥11 2024. 5. 13.

CRUD

CRUD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네 가지 기본 작업을 나타내는 약어입니다. 각 알파벳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나타냅니다:

  1. C (Create):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이 동작은 일반적으로 INSERT 문을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새로운 레코드를 추가하거나 새로운 테이블을 생성하는 등의 작업을 포함합니다.
  2. R (Read):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읽습니다. 이 동작은 일반적으로 SELECT 문을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쿼리하거나 전체 테이블의 데이터를 읽는 등의 작업을 포함합니다.
  3. U (Update):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업데이트합니다. 이 동작은 일반적으로 UPDATE 문을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거나 특정 열의 값을 수정하는 등의 작업을 포함합니다.
  4. D (Delete):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이 동작은 일반적으로 DELETE 문을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전체 테이블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등의 작업을 포함합니다.

 

테이블

테이블이란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객체입니다. 테이블은 행과 열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열은 특정 데이터 유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테이블은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쿼리하고 조작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은 사용자 이름, 이메일 주소, 비밀번호 등의 열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테이블 생성하는 방법

 

상단에 원통모양을 누르면 Schema가 생성이 된다. 

Schema(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의 구조를 정의하는 것이다. 테이블, 열, 그리고 그들 간의 관계를 결정하며, 데이터가 어떤 형식으로 저장되는지를 정합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데이터베이스의 '도면'이라고 생각하시면 된다.

원하는 Name을 설정해주고 생성한다.

 

 

좌측에 Schmas를 보면 생성된것을 볼 수있다.

 

 

Table에 우클릭 -> create Table을 누르면

 

테이블을 설정 할 수가 있는데 여기서 컬럼을 만들 수 있다.

 

 

 

테이블 이름과 컬럼 을 만드는데 INT는 정수(숫자), VARCHAR은 문자열이고 () 안에는 문자열의 글자수를 의미한다.

 

apply를 누르면 

 

 

생성이 된다.

 

use : 작업하는 스키마 공간

insert into : 테이블 명

(name,age) : 컬럼명

values : 값 = 야옹이,7

을 입력후 alt + enter

 

데이터가 추가된다 확인하는 방법은

 

 

를 입력하면

select * : *은 모든 컬럼을 보여준도

from cats : cats 테이블을 선택해서 보여준다.

입력된것을 볼 수 있다.

 

 

데이터 여러개 입력

 

 

컬럼 2개중 1개만 입력했을경우

숫자열이 공백이면 0으로

 

문자열을 입력 안하면 공백으로 입력된다.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본인이 설정한 Defalut 값으로 설정하는 방법은

 

좌측 테이블에 스페너 버튼을 누르면

 

 

아까 본 화면이 나오는데

NN (not null) 데이터가 없을때 Defaut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후 다시 데이터를 입력하면

name을 입력하지 않고 age만 입력했을떄

자동으로 고양이가 입력된다.

 

 

 

데이터값이 똑같을때  데이터를 구분하는 방법

입력한 데이터 만약가 똑같다면 데이터를 구분하는데 혼동이 오기때문에 ID컬럼을 만들어줘야한다.

 

 

ID 컬럼을 INT형으로 만들어준다. ID 컬럼은 제일 위로 올려준다.

  1. PK (Primary Key): 주 키(primary key)를 나타낸다. 주 키는 테이블 내에서 각 행(row)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열(column)이며, 중복 값이 허용되지 않는다. 주로 테이블에서 중요한 식별자로 사용된다.
  2. NN (Not Null): 이는 열(column)이 NULL 값을 허용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즉, 해당 열은 항상 값을 가져야 한다.
  3. UN (Unique): 유니크(Unique) 제약 조건은 열(column)에 중복된 값을 허용하지 않도록 강제한다. 이는 주로 특정 열이 고유한 값을 가져야 할 때 사용된다.
  4. AI (Auto Increment): 이 속성은 주로 숫자 자료형 열에 사용된다. 열에 이 속성을 부여하면, 해당 열의 값이 자동으로 1씩 증가하며 새로운 레코드가 삽입될 때마다 자동으로 증가된 값이 할당돤다. 주로 주 키(primary key)로 사용되며, 고유한 값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설정 후 다시데이터를 확인해보면

데이터마다 에 고유 ID 컬럼값이 입력된것을 볼 수 있다,

 

age가 4인 데이터 가져오는법

 

 

 

id와 name 컬럼을 가져오되, name 컬럼의 이름을 cat name으로 바꿔서 데이터를 가져오자.

공백을 쓸때는 ''를 활용한다.

as는 생략해도 괜찮다.

 

데이터 변경

고양이 이름이 키티 인 고양이의 나이를 2살로 변경하자

주의사항! 의도치 않게 컬럼 전체의 데이터를 모두 수정하는 경우를 조심.

 

에러가 뜬다면

Safe Updatates 해제 후

Reconnect to Server 를 누르면 에러가 사라진다.

키티의 나이가 2로 바꼈다

 

 

데이터 삭제

age 값이 7인 데이터 삭제한다.

삭제된것을 볼 수 있다.